라인배커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인배커 작전은 1972년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이 북베트남의 보급망을 차단하고 방공망을 무력화하기 위해 수행한 대규모 폭격 작전이다. 부활절 공세 이후 북베트남의 공세를 늦추고,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시작되었다. 작전에는 제77기동부대와 제7공군이 참여했으며, 하노이와 하이퐁을 포함한 북베트남의 주요 시설과 보급로를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공중전이 치열하게 벌어졌으며, 미국은 정밀 유도 무기를 사용하여 북베트남의 방공망을 효과적으로 파괴했다. 라인배커 작전은 북베트남의 피해를 키웠고, 북베트남은 협상 테이블로 복귀하여, 미국은 10월 23일 북위 20도선 이북에 대한 모든 폭격을 중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분쟁 - 피의 일요일 (1972년)
피의 일요일은 1972년 북아일랜드 데리에서 영국군이 비무장 시위대에 발포하여 14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북아일랜드 분쟁을 격화시키고 영국군의 책임을 인정하는 사빌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1972년 분쟁 - 라인배커 II 작전
라인배커 II 작전은 1972년 12월 미국이 베트남 전쟁 종결을 위해 북베트남에 감행한 대규모 공습 작전으로, 파리 평화 협상 교착 상태를 타개하고 북베트남을 협상 테이블로 복귀시키기 위해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명령으로 시작되어 B-52 폭격기를 중심으로 북베트남의 주요 도시와 군사 시설에 집중적으로 폭격을 가했다. - 1972년 8월 - 1972년 하계 스페셜 올림픽
- 1972년 8월 - 1972년 대낮 대화구
1972년 대낮 대화구는 1972년 8월 10일 미국과 캐나다 상공에서 관측된 화구 현상으로, 혜성 또는 소행성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대기 진입 중 궤적 변화를 보이며 미국의 군사 감시 시스템에 의해 추적되었다.
라인배커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작전 개요 | |
명칭 | 라인배커 작전 |
시기 | 1972년 5월 9일 – 1972년 10월 23일 |
장소 | 북베트남 |
관련 전쟁 | 베트남 전쟁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미국 남베트남 |
교전국 2 | 북베트남 |
지휘관 | |
지휘관 1 | 존 W. 포크트 Jr. |
지휘관 2 | 응우옌 반 티엔 |
손실 규모 | |
교전국 1 손실 | 항공기 134기 손실 (전투 및 작전 사고로 인한 손실 포함) |
교전국 2 손실 | 미국 주장: 항공기 63기 격추 북베트남 주장: 항공기 47기 격추 (MiG-21 26기, MiG-19 5기, MiG-17 16기) |
남베트남 손실 | 항공기 10기 손실 |
북베트남 주장 | 항공기 651기 격추, 군함 80척 침몰 또는 손상 |
결과 | |
결과 | 양측 모두 승리 주장 |
관련 작전 | |
관련 작전 | 포켓 머니 작전 |
2. 배경
1972년, 북베트남군은 남베트남을 상대로 대규모 공세(응우옌 후에 공세, 또는 부활절 공세)를 시작했다. 3월 30일, 3만 명의 북베트남군이 군사 분계선을 넘어 남쪽으로 진격했으며, 이들은 베트남 공화국 육군(남베트남군)과 미군을 혼란에 빠뜨렸다.[9][10] 북베트남군은 동하와 깜로의 다리를 점령하려 했고, 남베트남군은 4월 4일까지 간신히 방어선을 구축했다.[11][12]
이후 북베트남군은 캄보디아와 라오스에서도 공격을 개시하여 빈롱 성의 록닌과 안록을 점령하고, 중부 고원 지대의 꼰뚬 성에 있는 닥토 주변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13][14][15]
미국은 이러한 공격에 초기에는 혼란스러운 반응을 보였다.[17]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보잉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폭격기로 하노이와 하이퐁을 공격하려 했으나, 헨리 키신저 국가 안보 보좌관의 만류로 전략 무기 제한 협정(SALT I) 체결에 차질이 생길 것을 우려하여 중단했다.[18] 주월 미국 군사 지원 사령부 사령관 크레이튼 W. 에이브럼스는 남베트남군 지원을 위해 폭격기를 사용하길 원했다.[19]
닉슨은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18도선까지 확대 승인하고, 남베트남군의 붕괴를 막기 위해 대규모 군사력 증강을 결정했다.[21][22] 당시 베트남화 정책으로 인해 미군 전투 병력은 1만 명 미만이었고, 전투기 수도 1968-1969년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23][24] 미국 공군은 76대의 항공기를 남베트남에, 114대의 전투 폭격기를 태국에 배치했으며, 83대의 B-52기가 유-타파오와 앤더슨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다.[24][25] 미국 해군 제77기동 부대는 4척의 항공 모함을 보유했으나, 한 번에 두 척만 작전에 투입할 수 있었다.[26]
2. 1. 부활절 공세 (응우옌 후에 공세)
1972년 3월 30일 정오, 30,000명의 북베트남군이 전차와 포병 연대의 지원을 받으며 군사 분계선을 넘어 남쪽으로 진격했다.[9] 이 3개 사단 규모의 병력은 베트남 공화국 육군(남베트남군)과 그 동맹국인 미국을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만들었다.[10] 북베트남군은 남베트남군 제3사단의 방어선을 공격하여 혼란에 빠뜨렸다. 그 후 남베트남군은 후퇴했고, 동하와 깜로의 다리를 차지하기 위한 양측의 경쟁이 시작되었다.[11]4월 4일까지 남베트남군 장교들은 북베트남군을 저지하는 방어선을 겨우 구축했지만, 그것은 일시적인 휴식에 불과했다.[12] 북베트남군의 정규적인 공격에는 장갑차와 중포의 광범위한 사용이 포함되었으며, 동맹국의 시선을 북부 지역으로 집중시켰지만, 이는 그 해 봄에 시작된 세 차례 작전 중 첫 번째에 불과했다. 4월 5일, 20,000명의 북베트남군 병력이 캄보디아의 은신처에서 국경을 넘어 또 다른 3개 사단, 합동 병력으로 사이공 북쪽의 빈롱 성을 공격했다.[13] 그들은 록닌 마을을 신속하게 점령한 다음 안록 마을을 포위하여 수도로 가는 길을 차단했다.[14]
4월 12일, 북베트남군은 다시 공격을 가해 동쪽 라오스에서 이동하여 중부 고원 지대의 꼰뚬 성에 있는 닥토 주변의 일련의 국경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15] 그 후 북베트남군은 꼰뚬의 성도(省都)를 향해 동쪽으로 진격했다. 하노이는 겨울 몬순과 일치하도록 공격을 시작했는데, 이는 지속적인 비와 낮은 구름으로 인해 공중 지원이 어려웠기 때문이다.[16]
공격에 대한 미국의 초기 대응은 무관심하고 혼란스러웠다.[17] 펜타곤은 크게 우려하지 않았고, 주(駐)남베트남 미국 대사와 주월 미국 군사 지원 사령부 사령관인 크레이튼 W. 에이브럼스 장군 모두 국외에 있었다.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첫 번째 반응은 보잉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중폭격기가 하노이와 하이퐁 항구를 3일간 공격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었다. 그의 국가 안보 보좌관인 헨리 키신저는 닉슨에게 5월에 서명될 예정이었던 소련과의 전략 무기 제한 협정(SALT I)의 공식화를 위험에 빠뜨리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재고하도록 설득했다.[18] 계획의 또 다른 걸림돌은 남베트남군의 방어를 지원하기 위해 가용 폭격기(전천후 능력 보유)를 사용하려는 에이브럼스의 바람이었다.[19]
닉슨과 키신저는 합동 참모 본부가 제안한 계획이 창의력이 부족하고 공격성이 없다고 여겼다.[20] 4월 4일, 닉슨은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DMZ 바로 위에서 보복 공격으로 제한되었던)을 18도선까지 승인했다.[21] 닉슨은 남베트남군의 완전한 붕괴를 막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의 다가오는 정상 회담에서 미국의 위신을 보호하기 위해 대규모 무력 증강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22]
베트남화 정책의 일환으로 미군이 지속적으로 철수함에 따라, 침공 당시 남베트남에는 10,000명 미만의 미군 전투 병력만이 남아 있었고, 그들 대부분은 향후 6개월 이내에 떠날 예정이었다.[23] 동남아시아에 배치된 전투기의 수는 1968-1969년의 최고 강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1972년 초, 미국 공군은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 전투 폭격기 3개 비행대대와 세스나 A-37 드래곤플라이 경공격기 1개 비행대대, 총 76대의 항공기를 남베트남에 배치했다.[24] 또 다른 114대의 전투 폭격기가 태국의 기지에 배치되었다. 83대의 B-52기가 유-타파오 RTAFB, 태국 및 앤더슨 공군 기지, 괌에 배치되었다.[25] 미국 해군의 제77기동 부대(통킹 만에 배치)는 4척의 항공 모함을 배속받았지만,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한 번에 두 척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들의 항공대는 약 14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26]
2. 2. 미국의 베트남화 정책과 철군
Operation Linebacker영어는 1972년 5월 10일부터 시작된 미군의 대규모 폭격 작전으로, 북베트남의 외부 보급을 차단하고 군사 시설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작전은 제7공군과 제77기동부대의 전술 전투기들이 참여하여 북베트남의 철도, 교량, 저장 시설, 방공망 등을 공격했다.[46]작전 초기, 하노이 외곽의 옌비엔 철도 전환 기지와 폴 도머 다리 등 주요 시설이 폭격되었다.[47] 첫날에만 414회의 출격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베트남 전쟁 중 가장 치열한 공중전으로 기록되었다. 미군은 북베트남 MiG기 11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으며, 북베트남은 미군 F-4기 7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48] 이 과정에서 미 해군 항공기 2대가 격추되기도 했다.[48]
5월 말까지 미군은 하노이와 중국 국경 사이의 철도 교량 13개를 파괴했으며, 하노이와 하이퐁 사이의 탄호아 다리를 포함한 4개의 교량도 파괴했다. 이후 목표는 석유 및 오일 저장 시설, 운송 네트워크, 비행장 등으로 확대되었다.[50]
이러한 폭격은 남베트남 전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5월 9일부터 6월 1일까지 북베트남군의 포격이 절반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탄약 부족보다는 절약을 위한 조치였다. 미 정보 분석가들은 북베트남군이 가을까지 작전을 지속할 충분한 물자를 비축하고 있다고 판단했다.[51]
폭격 작전의 강도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출격 횟수 증가로 나타났다. 침공 전 한 달 동안 4,237회였던 출격 횟수는 4월 초부터 6월 말까지 27,745회로 크게 증가했다.[52] 북베트남은 큰 피해를 입었으며, 공식 자료에서 "5월과 6월 사이에 계획된 물자의 30%만이 최전선에 도달했다"고 인정했다.[53]
라인배커 작전은 유도 폭탄을 대규모로 사용한 최초의 작전 중 하나였다. 또한, 북베트남의 도로 및 철도망을 차단하고 방공망을 체계적으로 공격했다. 미 해군 조종사들은 탑건 훈련을 통해 높은 격추율을 기록했으며, 미 공군 조종사들도 경험 증가와 조기 경보 시스템 도입으로 격추율을 향상시켰다.[55][58]
이 작전에서 미 해군의 듀크 커닝햄 중위와 윌리엄 P. 드리스콜 중위는 MiG기 5대를 격추하여 최초의 에이스가 되었고,[61] 미 공군의 리처드 S. 리치 대위도 5대의 적기를 격추하여 에이스가 되었다. 찰스 B. 드벨뷰 대위와 제프리 S. 페인스타인 대위도 에이스 반열에 올랐다.[61]
3. 작전 전개
Operation Linebacker영어는 하노이와 중국 국경 방향 북동쪽의 철도 교량과 차량을 파괴하여 북베트남을 보급선으로부터 격리하고, 주요 저장 구역 및 조차장을 목표로 삼으며, 저장 및 환적 지점을 파괴하고 북베트남의 방공 시스템을 제거(또는 적어도 손상)하는 네 가지 목표를 가진 새로운 차단 작전이었다.[46] 주머니 돈 작전으로 북베트남 수입의 거의 85%가 차단되자, 행정부와 펜타곤은 이것이 북베트남의 사회주의 동맹국과의 마지막 통신망을 끊을 것이라고 믿었다. 중국은 두 개의 철도 노선과 북베트남을 연결하는 8개의 주요 도로를 통해 매달 평균 22000ton의 물자를 수송했다.[41]
1972년 5월 10일, 제7공군과 제77기동부대 전술 전투기의 북베트남 대량 폭격 작전으로 Operation Linebacker영어가 시작되었다. 하노이 외곽 북쪽에 있는 옌 비엔의 철도 전환 기지 및 폴 도머 다리가 목표물에 포함되었다.[47] 작전 첫날 총 414회의 출격이 이루어졌는데, 이 중 120회는 공군, 294회는 해군에서 수행되었으며, 베트남 전쟁 중 가장 격렬한 하루 공중전이 벌어졌다. 미국은 베트남 인민 공군(VPAF) MiG(4대의 MiG-21과 7대의 MiG-17 포함) 11대와 공군 F-4 2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48] VPAF는 MiG-21 2대, MiG-17 3대, MiG-19 1대 격추를 확인했으며, F-4 7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전쟁 후, F-4 5대 격추가 확인되었다[49]). 대공포 및 지대공 미사일 발사로 인해 미 해군 항공기 2대가 격추되었는데, 그 중 한 대는 에이스 듀크 커닝햄과 윌리엄 P. 드리 스콜이 조종했다.[48]
5월 말까지 미군은 하노이에서 중국 국경으로 이어지는 철도 노선을 따라 13개의 다리를 파괴했다. 수도와 하이퐁 사이의 탄호아 다리를 포함한 4개의 다리가 추가로 파괴되었다. DMZ 방향 남쪽으로 이어지는 철도 노선을 따라 여러 개의 다리가 더 파괴되었다. 이후 목표는 석유 및 오일 저장, 운송 네트워크와 북베트남 비행장으로 전환되었다.[50] 베트남 남부 전장에도 즉각적인 영향이 있었다. 5월 9일부터 6월 1일까지 북베트남군 포병의 포격이 절반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포탄 부족 때문이 아니라 탄약 절약에 대한 열망 때문이었다. 미 정보 분석가들은 PAVN이 가을 내내 캠페인을 지속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비축 물자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51]
폭격 작전의 강도는 동남아시아 전체에서 수행된 공격 및 지원 출격 횟수의 급격한 증가로 반영되었다. 침공 전 한 달 동안 RVNAF를 포함한 모든 부대의 출격 횟수는 4,237회였으나, 4월 초부터 6월 말까지 ARVN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27,745회로 증가했다(이 중 20,506회는 공군이 수행했다).[52] B-52는 같은 기간 동안 1,000회의 추가 출격을 제공했다.[52] 북베트남은 압박을 느꼈으며, 공식 PAVN 역사에서 "5월과 6월 사이에 계획에 따라 요구된 물자의 30%만이 최전선 부대에 실제로 도달했다"고 인정했다.[53] 총 41,653회의 ''Linebacker영어'' 작전을 통해 약 141110812.38kg의 폭탄이 투하되었다.[54]
''Linebacker영어''는 북베트남의 도로 및 철도 시스템을 차단하는 것 외에도 방공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공격했다. 약 200대의 요격기를 보유한 VPAF는 작전 전반에 걸쳐 이러한 공격에 강력히 저항했다. 해군 조종사들은 상호 지원적인 "루즈 듀스" 전술 대형을 사용했으며, 많은 조종사들이 탑건 훈련을 받아 5월과 6월에 6:1의 격추율을 기록, 이후 VPAF는 거의 교전하지 않았다.[55] 반대로, 미 공군은 작전 처음 두 달 동안 1:1의 격추율을 기록했으며, 24대의 ''Linebacker영어'' 공대공 손실 중 7대가 6월 24일부터 7월 5일까지 12일 동안 VPAF의 손실 없이 발생했다.[56] 미 공군 조종사들은 구식의 "플루이드 포" 전술 대형(단지 리더만 사격을 하고 바깥쪽 윙맨은 취약한 4대, 2개 요소 대형)을 사용해야 한다는 서비스 교리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또한 서로 다른 항공기에 대한 공중전 훈련 부족, 조기 경보 시스템 결함, ECM 포드 대형은 대형 비행을 엄격히 준수해야 했다는 점도 대등성에 기여했다.[57] 8월 중 실시간 조기 경보 시스템의 도입, 항공 승무원의 전투 경험 증가, VPAF 지상 통제 요격 능력 저하로 4:1의 격추율이 주장되면서 추세가 더욱 유리하게 반전되었다.[58]
작전 중 양측은 최종적으로 유리한 격추율을 주장했다. 1972년 출격에서 미국과 베트남 비행기 사이에 총 201번의 공중전이 벌어졌다. VPAF는 MiG 47대(MiG-21 26대, MiG-19 5대, MiG-17 16대 포함[59])를 잃었고, F-4 전투기 74대와 RF-4C 2대(MiG-21이 적 항공기 67대, MiG-17이 11대, MiG-19가 12대 격추[60])를 포함한 미국 항공기 90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Linebacker영어''는 여러 "최초"를 기록했다. 작전 개시 당일, 미 해군 중위 듀크 커닝햄과 그의 레이더 요격 장교 윌리엄 P. 드리 스콜 중위(j.g.)는 다섯 번째 MiG를 격추하여 베트남 전쟁에서 최초의 미국 에이스가 되었다.[61] 1972년 8월 28일, 미 공군은 리처드 S. 리치 대위가 다섯 번째 적 항공기를 격추하면서 최초의 에이스를 배출했다. 12일 후, 찰스 B. 드벨뷰 대위(리치의 5번의 승리 중 4번을 함께 했던 후방석 조종사)가 2대의 MiG를 더 격추하여 총 6대가 되었다. 10월 13일, 또 다른 무기 장교 제프리 S. 페인스타인 대위가 다섯 번째 MiG를 격추하여 미 공군의 마지막 에이스가 되었다.[61]
3. 1. 미국의 초기 대응과 혼란
1972년 3월 30일 정오, 30,000명의 북베트남 인민군(PAVN) 병력이 전차와 포병 연대의 지원을 받으며 비무장 지대(DMZ)를 넘어 남쪽으로 진격했다.[9] 이들은 베트남 공화국 육군(ARVN)과 미군을 기습하여 혼란에 빠뜨렸다.[10] PAVN 병력은 ARVN 제3사단의 방어선을 공격했고, ARVN 병력은 후퇴해야 했다. 이후 동하와 깜로의 다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되었다.[11]4월 4일까지 ARVN 장교들은 PAVN을 저지하는 방어선을 구축했지만, 이는 일시적인 것에 불과했다.[12] 4월 5일, 20,000명의 PAVN 병력이 캄보디아에서 국경을 넘어 빈롱 성을 공격하여 록닌 마을을 점령하고 안록 마을을 포위했다.[13],[14] 4월 12일에는 라오스에서 이동하여 중부 고원 지대의 꼰뚬 성에 있는 닥토 주변의 국경 전초 기지를 점령하고 꼰뚬을 향해 진격했다.[15] 하노이는 겨울 몬순과 겹치도록 공격을 시작하여 공중 지원을 어렵게 만들었다.[16]
미국의 초기 대응은 혼란스러웠다.[17] 펜타곤은 크게 우려하지 않았고, 주(駐)남베트남 미국 대사와 주월 미국 군사 지원 사령부 사령관(COMUSMACV)인 크레이튼 W. 에이브럼스 장군은 모두 자리를 비운 상태였다.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보잉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중폭격기로 하노이와 하이퐁 항구를 공격하려 했으나, 헨리 키신저 국가 안보 보좌관(National Security Advisor)이 소련과의 전략 무기 제한 협정(SALT I) 체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만류했다.[18] 또한 에이브럼스는 가용 폭격기를 ARVN 방어 지원에 사용하길 원했다.[19]
닉슨과 키신저는 합동 참모 본부의 계획이 창의력과 공격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20] 4월 4일, 닉슨은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18도선까지 승인했다.[21] 닉슨은 ARVN의 붕괴를 막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의 정상 회담에서 미국의 위신을 보호하기 위해 대규모 무력 증강을 결정했다.[22]
베트남화 정책으로 미군이 지속적으로 철수하면서, 침공 당시 남베트남에는 10,000명 미만의 미군 전투 병력만이 남아 있었고, 대부분은 곧 철수할 예정이었다.[23] 1972년 초, 미국 공군(USAF)은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 전투 폭격기 3개 비행대대와 세스나 A-37 드래곤플라이 경공격기 1개 비행대대, 총 76대의 항공기를 남베트남에 배치했다.[24] 또 다른 114대의 전투 폭격기가 태국의 기지에 배치되었다. 83대의 B-52기가 유-타파오 RTAFB, 태국 및 앤더슨 공군 기지, 괌에 배치되었다.[25] 미국 해군(USN)의 제77기동 부대는 통킹 만에 4척의 항공 모함을 배속받았지만, 한 번에 두 척만 작전에 투입할 수 있었다. 이들의 항공대는 약 14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26]
3. 2. 공군력 증강과 '프리덤 트레인' 작전
미국과 베트남 공군(RVNAF)의 항공기는 공세가 시작된 이래 (날씨가 허락하는 한) 방어 지원을 해왔다. 여기에는 코럴 시와 핸콕 항모의 항공단이 포함되었다. 악천후로 인해 미군 항공기가 북베트남의 공격을 저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능력이 제한되었다. 4월 6일까지 전 세계 해군 및 공군 기지에서 미군은 경계 태세에 돌입했고 함선과 항공기 비행대가 동남아시아로 이동하기 시작했다.[27]미국은 공군력 증강을 신속하게 시작했다. 미국 공군은 4월 1일부터 5월 11일까지 대한민국과 미국 기지에서 F-105 선더치프 12대와 F-4 176대를 태국으로 파견하여 콘스탄트 가드 작전을 수행했다.[28] 전략공군사령부(SAC)는 B-52 124대를 미국에서 괌으로 파견하여 작전에 투입할 수 있는 B-52 총력을 209대로 늘렸다.[29] 미 해군은 키티호크, 컨스텔레이션, 미드웨이, 아메리카, 사라토가 항모의 함대를 증강하도록 명령하여 4개 이상의 항모 항공단이 동시에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현지 해역의 제7함대 자산은 84척에서 138척으로 증가했다.[20]
미국 공군의 북베트남에 대한 전술 공격은 북위 20도선 북쪽 지역에 대해 4월 5일에 ''프리덤 트레인''이라는 별칭으로 승인되었다.[21] 북부를 겨냥한 최초의 대규모 B-52 폭격은 4월 10일 12대의 B-52기가 공격기 53대의 지원을 받아 빈 주변의 석유 저장 시설을 공격하면서 이루어졌다.[30] 4월 12일까지 닉슨은 키신저에게 하노이와 하이퐁을 모두 공격하는 보다 광범위한 폭격 작전을 결정했다고 알렸다.[20]

다음 날 18대의 B-52기가 탄호아의 바이 트엉 공군 기지를 공격했다. 사흘 후 하이퐁 외곽의 유조 탱크 농장에 대한 새벽 공격에서 또 다른 18대의 폭격기가 투입되었다. 그 뒤를 이어 낮 동안 하노이와 하이퐁 주변의 목표물을 공격하는 100대 이상의 전술 항공기가 투입되었다.[21] 4월 6일부터 15일까지 미군 항공기는 또한 폴 두머와 탄호아 교량, 옌비엔 철도 조차장을 공격하여 파괴했다. 이는 북베트남의 전략 목표물에 대한 레이저 유도 폭탄의 도입을 의미했다. 두 다리 모두 기존 폭탄과 심지어 미사일로도 이전에는 공격에 실패했었다. B-52는 그 후 북부 작전에서 철수했고 6월에 복귀했을 때는 임무가 남베트남으로 제한되었다.[31]
3. 3. '주머니 돈 작전'(Operation Pocket Money)
1968년 폭격 중단 이전에 작성된 북부 폭격 재개에 대한 비상 계획이 갱신되어 5월 8일 승인되었다.[40] 닉슨은 취임 직후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한 비상 계획 준비를 명령했고, 덕 훅 작전에는 북베트남 침공 및 주요 항구 기뢰 매설 제안이 포함되었다.[41][42] 1965년부터 미 해군은 기뢰 매설 작전 비상 계획을 업데이트해 왔고, 닉슨은 5월 5일 합참에 ''덕 훅'' 계획의 공중 기뢰 매설 부분을 작전명 ''주머니 돈''으로 3일 내 실행하도록 명령했다.[41]1972년 5월 9일 오전 9시(현지 시간), USS ''코랄 시''에서 출격한 미 해군 A-7 콜세어 II기 6대와 A-6 인트루더기 3대가 하이퐁 항구에 약 453.59kg Mark-52 및 Mark-55 해군 기뢰 36개를 투하했다.[43] 이들은 베트남 인민 공군 (VPAF) MiG 전투기의 공격으로부터 커스텀 테일러 작전을 개시하고 F-4 팬텀의 지원 비행으로 보호받았다. 이때 공격에는 USS ''시카고'' 및 USS ''롱비치'' 유도 미사일 순양함과 USS ''버클리'' 유도 미사일 구축함을 포함한 여러 구축함이 동원되었다. 닉슨은 TV 연설을 통해 "살인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북베트남의 국제 불법자들의 손에서 전쟁 무기를 빼앗는 것"이라고 밝혔다.[43] 기뢰는 5일 후 활성화되어 선박들이 피해 없이 탈출할 수 있었고,[40] 이후 3일 동안 다른 미국 항공모함 기반 항공기들이 11,000개의 기뢰를 더 매설하여 북베트남의 해상 상업을 봉쇄했다.[44]
''주머니 돈'' 작전 전과 중에 닉슨과 키신저는 소련과 중국의 반응을 우려했다. 닉슨의 기뢰 매설 발표 연설 몇 시간 전, 키신저는 소련 대사 아나톨리 도브리닌에게 미국 계획을 설명하는 서한을 전달했지만, 닉슨이 정상 회담을 진행할 의향이 있음을 분명히 했다.[45] 다음 날, 닉슨은 백악관에서 소련 대외 무역 장관 니콜라이 파톨리체프와 악수를 했다. 모스크바와 베이징은 공개적으로 미국의 작전을 비난했지만, 미국과의 해빙 관계를 위태롭게 할 의향이 없었고 하노이는 사회주의 동맹국에게 지원과 원조를 요청했지만 냉담한 반응만 얻었다.[43]
3. 4. '라인배커 작전' 개시
4월 27일, 꽝찌 성의 남베트남군(ARVN) 방어선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상부의 상반된 명령으로 인해 남베트남군 부대는 꽝찌 시를 버리고 남쪽으로 향하는 난민 대열에 합류했다.[38] 북베트남군(PAVN)은 헨리 키신저와 레득토의 회담이 열린 같은 날 도시에 진입했다. 북베트남군의 공세는 15개 사단과 600ton에 해당하는 병력이 동시에 3개 전선에서 수행하는 대규모 정규 군사 작전이 되었다.[39]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의 4개 군사 지역 중 3곳에서 계속해서 점령지를 넓혀가자, 미국 합참은 1968년 폭격 중단 전에 작성된 북부 폭격 재개에 대한 비상 계획을 업데이트하고 대통령에게 이를 권고했으며, 대통령은 5월 8일에 이를 승인했다.[40]
취임 직후 닉슨은 베트남 전쟁을 종식시킬 수 있기를 바라는 비상 계획의 준비를 명령했다.[41] 덕 훅 작전에는 북베트남 침공이 포함되어 있었고 주요 항구에 대한 기뢰 매설 제안도 포함되어 있었다.[42] 이 계획은 당시에는 너무 과격하다는 이유로 보류되었지만 잊혀지지는 않았다. 미국 해군(USN) 또한 1965년부터 그러한 기뢰 매설 작전에 대한 자체 비상 계획을 업데이트해 왔다. 5월 5일, 닉슨은 합참에 ''덕 훅'' 계획의 공중 기뢰 매설 부분을 작전명 ''주머니 돈 작전''으로 3일 이내에 실행하도록 명령했다.[41]
5월 9일 오전 9시(현지 시간) 정각, USS ''코랄 시''에서 출격한 6대의 미 해군 A-7 콜세어 II기와 3대의 A-6 인트루더기가 하이퐁 항구로 날아가 36개의 약 453.59kg Mark-52 및 Mark-55 해군 기뢰를 해상에 투하했다. 이들은 베트남 인민 공군 (VPAF) MiG 전투기의 공격으로부터 USS 시카고, USS 롱비치 유도 미사일 순양함과 USS 버클리 유도 미사일 구축함을 포함한 여러 구축함이 커스텀 테일러 작전을 개시하고, F-4 팬텀의 지원 비행으로 보호받았다. 닉슨이 동시에 미국 국민에게 확전을 설명하는 TV 연설을 하면서, 이 공격의 정확한 시점의 이유가 명백해졌다. "살인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북베트남의 국제 불법자들의 손에서 전쟁 무기를 빼앗는 것입니다."[43] 기뢰는 투하 후 5일 뒤에 활성화되어 당시 항구에 있던 선박들이 피해 없이 탈출할 수 있도록 했다.[40] 그 후 3일 동안 다른 미국 항공모함 기반 항공기들이 북베트남의 2차 항구에 11,000개의 기뢰를 더 매설하여 이 나라의 모든 해상 상업을 봉쇄했다.[44]
''주머니 돈 작전'' 전과 작전 중에 닉슨과 키신저는 소련과 중국의 확전에 대한 반응을 우려했다. 닉슨의 기뢰 매설 발표 연설 몇 시간 전에 키신저는 소련 대사 아나톨리 도브리닌에게 미국 계획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서한을 전달했지만, 닉슨이 정상 회담을 진행할 의향이 있음을 분명히 했다.[45] 다음 날, 닉슨은 백악관에서 소련 대외 무역 장관 니콜라이 파톨리체프와 악수를 했다. 모스크바와 베이징은 공개적으로 미국의 작전을 비난했지만, 미국과의 해빙 관계를 위태롭게 할 의향이 없었고 하노이가 사회주의 동맹국에게 지원과 원조를 요청했지만 냉담한 반응만 얻었다.[43]
비록 ''라인배커 작전''이 주로 공중에서 수행되었지만, 해군 전력 또한 해안을 따라 위치한 적 목표물과 기타 중요한 군수 지역에 대한 대포병 사격을 제공하고 지상군을 지원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그러한 작전 중 하나가 Operation Lion's Den, 즉 "하이퐁 항 전투"였다. 1972년 8월 27일, 제임스 L. 할로웨이 3세 부제독은 자신의 함선인 중순양함 USS 뉴포트 뉴스, 유도 미사일 순양함 USS 프로비던스, 구축함 USS 로비슨 및 USS 로완을 이끌고 하이퐁 항구를 방어하는 북베트남군을 상대로 짧은 야간 기습 작전을 수행했다. 포격 후, 함선들은 소련제 어뢰정 4척의 위협을 받았다. USS 코랄 시에서 발진한 항공기 2대가 합류하여, 4척의 어뢰정 중 3척이 격침되었다. 이 작전은 전쟁 중 몇 안 되는 함대함 해전 중 하나였다.[62][63]
4. 주요 목표 및 전술
라인배커 작전에는 다양한 비행단과 비행대대가 참여하여 북베트남의 주요 목표 및 전술에 기여했다.
미국 해군 항공모함 함재기
비행단 | 비행대 | 항공기 기종 |
---|---|---|
CVW-9 | VF-92 | F-4J 팬텀 II |
VF-96 | F-4J 팬텀 II | |
VA-146 | A-7E 콜세어 II | |
VA-147 | A-7E 콜세어 II | |
VA-165 | A-6A & KA-6D 인트루더 | |
CVW-15 | VF-51 | F-4B 팬텀 II |
VF-111 | F-4B 팬텀 II | |
VA-22 | A-7E 콜세어 II | |
VA-94 | A-7E 콜세어 II | |
VMA(AW)-224 | A-6A & KA-6D 인트루더 | |
CVW-21 | VF-24 | F-8J 크루세이더 |
VF-211 | F-8J 크루세이더 | |
VA-55 | A-4F 스카이호크 | |
VA-164 | A-4F 스카이호크 | |
VA-212 | A-4F 스카이호크 | |
CVW-11 | VF-114 | F-4J 팬텀 II |
VF-213 | F-4J 팬텀 II | |
VA-192 | A-7E 콜세어 II | |
VA-195 | A-7E 콜세어 II | |
VA-52 | A-6A & KA-6D 인트루더 | |
CVW-5 | VF-151 | F-4B 팬텀 II |
VF-161 | F-4B 팬텀 II | |
VA-56 | A-7B 콜세어 II | |
VA-93 | A-7B 콜세어 II | |
VA-115 | A-6A & KA-6D 인트루더 | |
CVW-3 | VF-31 | F-4J 팬텀 II |
VF-103 | F-4J 팬텀 II | |
VA-37 | A-7A 콜세어 II | |
VA-105 | A-7A 콜세어 II | |
VA-75 | A-6A & KA-6D 인트루더 | |
CVW-8 | VF-74 | F-4J 팬텀 II |
VMFA-333 | F-4J 팬텀 II | |
VA-82 | A-7C 콜세어 II | |
VA-86 | A-7C 콜세어 II | |
VA-35 | A-6A & KA-6D 인트루더 | |
CVW-19 | VF-191 | F-8J 크루세이더 |
VF-194 | F-8J 크루세이더 | |
VA-153 | A-7A 콜세어 II | |
VA-155 | A-7B 콜세어 II | |
VA-215 | A-7B 콜세어 II |
미국 공군
비행단 | 비행대대 | 항공기 기종 | 비고 |
---|---|---|---|
제8전술전투비행단 | 제25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102] |
제433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103] | |
제435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104] | |
제497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105] | |
제49전술전투비행단 | 제7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뉴멕시코주, 홀로먼 공군기지에서 배치; 1972년 5월 11일 – 1972년 8월 12일[113][114] |
제8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뉴멕시코주, 홀로먼 공군기지에서 배치; 1972년 5월 12일 – 1972년 10월 2일[115][116] | |
제9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뉴멕시코주, 홀로먼 공군기지에서 배치; 1972년 5월 13일 – 1972년 10월 5일[117][118] | |
제474전술전투비행단 | 제429전술전투비행대대 | F-111A | 네바다주, 넬리스 공군기지에서 배치; 1972년 9월 26일 |
제430전술전투비행대대 | F-111A | 네바다주, 넬리스 공군기지에서 배치; 1972년 9월 26일 | |
제56특수작전비행단 | 제1특수작전비행대대 | A-1 스카이레이더 | [123] |
제21특수작전비행대대 | CH-53 씨 스탤리온 | [124] | |
제366전술전투비행단 | 제4전술전투비행대대 | F-4E 팬텀 II | 1972년 6월 27일 타클리 RTAFB, 태국으로 이전[127] |
제390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1972년 6월 30일 아이다호주, 마운틴 홈 공군기지, 제347 TFW로 이전[128] | |
제421전술전투비행대대 | F-4E 팬텀 II | 1972년 6월 27일 타클리 RTAFB, 태국으로 이전[129] | |
제388전술전투비행단 | 제34전술전투비행대대 | F-4E 팬텀 II | [133] |
제469전술전투비행대대 | F-4E 팬텀 II | 1972년 10월 31일 해산[134] | |
제17와일드 위즐 비행대대 | F-105G 썬더치프 | [135] | |
제432정찰비행단 | 제13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139] |
제14전술정찰비행대대 | RF-4C 팬텀 II | [140] | |
제555전술전투비행대대 | F-4D 팬텀 II | [141] |
미국 전략 공군
특히, 제388전술전투비행단의 제17와일드 위즐 비행대대는 F-105G 썬더치프를 운용하며 방공망 제압(SEAD) 임무를 수행, 북베트남의 레이더 및 지대공 미사일 기지를 파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4. 1. 북베트남의 보급망 차단
1972년 4월 27일, 꽝찌 성에서 남베트남군(ARVN) 방어선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상부의 상반된 명령으로 인해 남베트남군은 꽝찌 시를 버리고 남쪽으로 피난길에 올랐다.[38] 같은 날 북베트남군(PAVN)은 꽝찌 시에 진입했다. 북베트남군은 15개 사단과 600대의 탱크에 해당하는 병력으로 3개 전선에서 동시에 대규모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39]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의 4개 군사 지역 중 3곳에서 점령지를 넓혀가자, 미국 합참은 1968년 폭격 중단 전에 작성된 북부 폭격 재개 계획을 업데이트하여 대통령에게 권고했고, 대통령은 5월 8일에 이를 승인했다.[40]닉슨 대통령은 취임 직후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한 비상 계획 준비를 명령했다.[41] 덕 훅 작전에는 북베트남 침공과 주요 항구에 대한 기뢰 매설 제안이 포함되어 있었으나,[42] 당시에는 너무 과격하다는 이유로 보류되었다. 그러나 미국 해군(USN)은 1965년부터 기뢰 매설 작전에 대한 자체 비상 계획을 업데이트해 왔다. 5월 5일, 닉슨은 합참에 ''덕 훅'' 계획의 공중 기뢰 매설 부분을 ''주머니 돈'' 작전명으로 3일 이내에 실행하도록 명령했다.[41]
1972년 5월 9일 오전 9시(현지 시간), USS ''코랄 시''에서 출격한 미 해군 A-7 콜세어 II기 6대와 A-6 인트루더기 3대가 하이퐁 항구에 약 453.59kg Mark-52 및 Mark-55 해군 기뢰 36개를 투하했다. 이들은 베트남 인민 공군(VPAF) MiG 전투기의 공격으로부터 USS ''시카고'' 및 USS ''롱비치'' 유도 미사일 순양함과 USS ''버클리'' 유도 미사일 구축함을 포함한 여러 구축함이 커스텀 테일러 작전을 개시하고, F-4 팬텀의 지원 비행으로 보호받았다.[43] 닉슨은 동시에 미국 국민에게 확전을 설명하는 TV 연설을 하면서, "살인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북베트남의 국제 불법자들의 손에서 전쟁 무기를 빼앗는 것입니다."라고 밝혔다.[43] 기뢰는 투하 후 5일 뒤에 활성화되어 당시 항구에 있던 선박들이 피해 없이 탈출할 수 있도록 했다.[40] 그 후 3일 동안 다른 미국 항공모함 기반 항공기들이 북베트남의 2차 항구에 11,000개의 기뢰를 더 매설하여 북베트남의 모든 해상 상업을 봉쇄했다.[44]
''주머니 돈'' 작전 전과 작전 중에 닉슨과 키신저는 소련과 중국의 확전에 대한 반응을 우려했다. 닉슨의 기뢰 매설 발표 연설 몇 시간 전에 키신저는 소련 대사 아나톨리 도브리닌에게 미국 계획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서한을 전달했지만, 닉슨이 정상 회담을 진행할 의향이 있음을 분명히 했다.[45] 다음 날, 닉슨은 백악관에서 소련 대외 무역 장관 니콜라이 파톨리체프와 악수를 했다. 모스크바와 베이징은 공개적으로 미국의 작전을 비난했지만, 미국과의 해빙 관계를 위태롭게 할 의향이 없었고 하노이는 사회주의 동맹국에게 지원과 원조를 요청했지만 냉담한 반응만 얻었다.[43]
다음은 라인배커 작전에 참가한 미 해군 및 해병대 항공단 목록이다.
'
|